다리가 저리고 쑤셔서 잠을 못 자요. 잠 자는 게 문제죠. 누우면 낮이고 밤이고 다리가 불편해서 잠을 못 자는 거예요. 못 자는 날은 못 자고 1시간 자다 깨다 2시간 자다 깨다를 반복해서 잘 못 자는 거예요.
걷는 것도 좀 걸으면 다리도 그렇고 허리도 그렇고 힘들어지니까 안 걷고 싶죠. 허리가 아프면서 다리도 다 저리고 쑤시니까 이게 왼쪽부터 시작했는데 몇 년이 지나니까 오른쪽까지 다 뻗치고 이제는 발바닥까지 내려가니까 서는 일이 있다든가 걸을 일이 있다든가 하면 그때는 발바닥도 아프죠. 발바닥에 파스 붙이고 자죠.
오래 못 앉아요. 앉으면 허리 이쪽이 엉덩이 위쪽으로 해서 넓게 아프죠. 한 10분 있으면 불편해지기 시작하는데 이후에는 통증을 막 견디죠. 그래서 모임이 있으면 진통제를 먹고 가거나 파스를 붙이든가 해요.
협착증에 디스크가 있다고 하죠. 시술을 받으라고 해서 주사 시술을 두 군데서 4번 정도 받았고요. 작년에도 한 번 받았고요. 통증클리닉에서도 몇 번을 받았는데 도무지 효과가 없었어요. 강남에 있는 병원을 세 군데 갔었어요. 한 군데서는 카테타를 삽입해서 긁어내고 공간을 넓혀주는 시술을 하자고 그랬는데 그날 시술 받고 그날 퇴원하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는데 그 말이 믿기지가 않아서 안 했고요. 다른 한 군데는 그냥 간단한 시술이고 그날 퇴원할 수 있는데 그래도 안심을 하려면 일주일 정도 쉬면 더 좋다고 해서 시술을 하러 들어갔는데 시술이 아니고 수술 준비를 하고 있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안 한다고 그러고 나왔어요.
주변에 척추수술 하신 분들을 봤는데 나이가 드신 분들이라서 예후가 좋은 사람보다 안 좋은 사람이 거의 대부분이라서 수술은 안 하고 싶죠. 저희 형님도 나사 박는 수술을 몇 년 전에 했는데 우리 형님 말씀으로는 닳아서 덜그럭거린대요. 아프대요. 작년부터는 걷기가 싫어져서 지난 12월에 강남에 유명한 병원을 보고 대구에 사시는데 서울까지 오셔서 시술 받았는데 효과가 별로 없다고 하시더라고요.
제가 인터넷으로 모커리를 찾았어요. 제가 수술 안 하고 병원을 여러 군데를 다녔기 때문에 근데 보니까 모커리가 보건복지부 지정 척추전문 한방병원이더라고요. 그래서 한방치료를 받고 싶었어요. 너무 절박했기 때문에. 그래서 제가 모커리 치료를 한번 받아보는 게 어떨까 그러고 왔죠. 주위에서 다 말리더라고요. 생각보다 치료효과가 크지 않을 거라고. 왜 서울까지 가냐고.
이 환자분 얘기 잘 들으셨습니까? 먼저 이분 MRI를 보면서 설명해드린 후 신경이 눌리는 협착증 환자분을 어떻게 수술 없이 치료할 수 있는지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보시다시피 이 환자분은 허리 여러 마디가 다 안 좋습니다. 4마디 디스크 높이가 심하게 주저 앉았습니다.
신경이 빠져나가는 추간공들이 좌우 다 좁아져 있고
척추관도 좁아져 있습니다.
이렇게 신경 구멍들이 좁아져 있어서 신경눌림 증상이 엉덩이와 다리에 생기는데, 이런 증상들은 근육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협착증 환자분들 중 걸을 때만 다리가 저리고 아픈 분들이 있고, 반면에 앉거나 누울 때도 허리, 엉덩이, 다리가 아프고 저린 분들이 있습니다. 이 환자분처럼 앉아도 누워도 아픈 분들일수록 근육 문제가 심한 분들이고, 이런 분들은 걸을 때만 아픈 분들에 비해 수술 결과도 더 안 좋고 따라서 수술 이후에도 아플 가능성이 높습니다. 꼭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저희 모커리한방병원에서는 걸을 때만 다리가 저리고 아픈 분들을 단순형 협착증, 걸을 때 말고도 앉거나 누울 때도 허리, 엉덩이와 다리가 저리고 아픈 분들을 복합형 협착증이라고 부르는데, 이 환자분이 바로 복합형 협착증 환자분입니다.
저희 모커리한방병원은 모든 협착증 환자는 반드시 근육 문제를 동반한다고 계속 반복해서 설명해 드리고 있습니다. 나이 들면서 노화와 퇴행으로 신경 구멍도 좁아지지만, 근육도 줄어들고 약해지고 뭉치고 뒤틀리면서 신경이 눌리는 거라고 말입니다. 단순형 협착증 환자는 신경 눌림 증상만 심한 것이고, 복합형 환자는 신경 눌림 증상 외에도 근육이 뭉치고 뒤틀리는 증상도 심한 분들입니다.
이런 근육 문제는 심할수록 수술로 신경을 풀어준다고 해서 잘 해결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수술로 신경을 잘 풀어준 후에도 통증이 좋아지지 않는 환자들은 근육성 통증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런 복합형 협착증 증상에 대한 해결책이 바로 저희 모커리한방병원이 하고 있는 근육재활치료입니다. 그런데 앉아도 아프고 누워도 아픈 증상 외에도 근육재활치료는 신경눌림 증상, 즉 걸을 때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도 치료합니다. 어떻게 근육재활치료가 신경눌림 증상을 좋게 만들까요?
신경 눌림이 수술 없이도 치료 가능한 이유는 협착증은 신경 구멍이 좁아져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고 나이 들면서 근육이 동시에 나빠졌을 때 협착증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협착증은 노화와 퇴행으로 척추의 신경 구멍이 좁아지고, 동시에 근육이 줄어들고 약해지면서 문제가 생기니까 허리를 잘 지탱하지 못하고 그래서 신경이 눌리는 겁니다. 즉 약해져서 뭉치고 뒤틀린 근육을 근육재활치료로 잘 치료해서 근육이 좋아지면 협착증 증상이 좋아지는 겁니다. 즉 근육이 줄어들고 약해지고 뭉치고 뒤틀릴 때 신경 눌림 증상이 생기니까 근육재활치료로 근육이 좋아지면 협착증 증상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 근육을 좋게 해주는 치료는 어떻게 할까요? 저희 모커리한방병원은 근육을 좋게 만들기 위해 한방, 양방을 통틀어 근육에 관련된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치료를 다 합니다. 침, 약침, 봉침, 이완추나,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는 한약, 도수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까지 여러분이 일상적으로 받고 계신 치료가 대부분 다 근육을 치료하는 겁니다.
그런데 협착증이라는 건 최소한 10년, 20년 이렇게 오랫동안 근육이 줄어들고 약해지고 문제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근육치료를 몇 번 간단하게 받는다고 해서 이런 오래된 근육 문제가 바로 해결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근육재활치료 받으면서 직장 가서 일하고, 집에 가서 일하면 회복될 가능성이 더 떨어집니다.
그래서 저희 모커리한방병원은 환자를 입원시켜놓고 하루에도 4번~5번 허리 주변 근육을 치료하고 쉬고 치료하고 쉬고 치료하고 쉬고를 2주~4주 정도 반복합니다. 이런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협착증 근육재활치료를 우리는 모커리 ABCDE 협착증 치료법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집중된 반복치료를 통해 근육 상태가 좀 좋아지면 운동도 시작하게 됩니다. 그런데 운동도 무리한 근력 운동은 오히려 증상을 더 악화시키기 때문에 가벼운 운동이지만 근육의 기능을 살려주는 운동인 누워서 하는 운동과 실내 걷기운동 등을 주로 하셔야 됩니다.
이렇게 입원해서 치료하고 쉬고 운동하고, 치료하고 쉬고 운동하고를 매일매일 2주~4주 정도 계속 반복해서 근육 상태가 좋아지면, 허리를 더 잘 지탱해 주니까 협착증 증상이 훨씬 더 좋아지게 됩니다. 그럼 이분의 근육재활치료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요? 잘 때, 앉을 때, 걸을 때 불편한 증상이 다 사라졌을까요? 이분의 치료 후 결과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영상을 꼭 보시길 바랍니다.
모커리 척추관협착증 ABCDE 한·양방 협진 재활치료법은 수술 없이 협착증을 치료하는 모커리 고유의 비수술 치료방법입니다. 한쪽 다리의 통증만 있는 초기 협착증부터 다리에 힘이 빠지고 몇 걸음 걷지 못하는 말기 협착증까지 ABCDE 척추관협착증 비수술 치료법으로 치료하고 있습니다. 모커리는 수준 높은 임상연구를 통하여 말기 협착증 환자가 ABCDE 재활치료로 통증 없이 걷는 거리가 11배 증가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객관적으로 증명하여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습니다.